[영단어] I am supposed to ~해야 한다. ~ 하기로 되어 있다/~하기로 되어 있었는데/무슨 의도야/어떻게 하기로 한거야

오늘의 영단어를 배워 보자.
be supposed to 정말 노래든 영화든 원어민이라면 무조건 사용하는 단어인데,
비슷한 걸로는 I should/ I have to도 있는데 그거는 빨간모자쌤이 알려주는 것을 토대로 알아보자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UUTnXGIHi4c&pp=ygUV67mo6rCE66qo7J6QIHN1cHBvc2Vk
be supposed to ~
1. ~ 해야한다. ~ 하기로 되어 있다.
I'm supposed to have a meeting at 2 o'clock.
2시에 미팅을 해야한다.
The lesson is supposed to start at noon.
수업은 정오에 시작하기로 되어 있다.
You are supposed to be my friend.
너 내 친구여야하잖아
2. (보도된)예정된 날씨 : 날씨가~하대/~하다더라
It's supposed to rain tomorrow, isn't it?
내일 비온댔지?
it's supposed to be chilly this weekend.
이번주말 쌀쌀 하다더라
3. 약속 되어진 규율이나 관습 등: 하면 안돼/~해야돼
- should는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서 ~하면 좋겠다/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견(조언)
- be supposed to는 원래 상식적으로 그러면 안된다는 것을 깔고 ~해야한다/하지 말아야한다는 경고(조언)
You are not supposed to do that
(원래)너 그러면 안돼
You are not supposed to smoke near the station.
역 주변에서 담배피면 (원래) 안돼
4. 과거형 was/were supposed to
: ~하기로 (약속)되어 있었는데 안했어/ ~하기로 (약속)했었는데 안했어
I was supposed to hang out with my friends but I didn't.
친구랑 놀기로 했는데 안했어
Here was supposed to light
원래 여기 밝은 곳인데...(어둡네)
This was supposed to come with salad, isn't it?
(이거 원래)샐러드도 같이 나오지 않나요?
I think i'm supposed to get a pop with this.
(원래 주는 구성인데)탄산음료 안주신 것 같은데요?
4. 반문/의도 : 무슨 의도야?
What's that supposed to mean?
그런 말을 하는 의도가 뭐니?(너 뭔 개소리니?)
5. 답답/짜증 : 어떻게 해야하는 거야? 어ᄄᅠᇂ게 하기로 되어 있는 거야?
What am I supposed to do?
내가 뭘 하기로 되어있던거야?(나보고 뭘 어쩌라는 거야?)
Where am I supposed to head up?
내가 어디로 가야하는 거야?(도대체 어디로 가라는거야?)